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Tags
- Batch
- 포너블
- 웹해킹
- 시스템 해킹
- 백준
- 스프링 배치
- programmers
- pwnable.xyz
- hackctf
- 보안
- kotest
- spring Batch
- 네트워크
- 파이썬
- 회고
- webhacking.kr
- cloud run
- 프로그래머스
- sequelize
- docker
- gcp ci/cd
- Baekjoon
- Python
- 웹보안
- gcp
- 사이버보안
- 리버싱
- node.js
- nodejs
- gcp cloud build
Archives
uju's Tech
로컬 repository를 git clone 받은 repository로 변경 본문
정말 별 거 아닌 내용이고 많은 사람들이 아는 내용이지만 기록차 작성해본다. :) (그래서 카테고리가 하찮은 팁~)
간혹 github에서 레포지토리를 만들었는데 로컬에서 webstorm 혹은 intellji에서 직접 만든 프로젝트를 써야하는 상황이 있을 수 있다.
그럼 두 가지 방법이 있다.
첫 번째.
github에서 기존 레포를 지우고 로컬에서 만든 프로젝트를 깃헙으로 올리기.
두 번째.
기존 프로젝트의 .git 디렉토리를 로컬 프로젝트로 옮기기. (그러면 로컬 프로젝트가 clone받은 깃 레포처럼 동작)
이번 포스팅에서는 두 번째 방법을 진행했는데 아래와 같은 주의 사항이 있다.
- 기존 프로젝트의 프로젝트 명을 바꾸고 로컬 프로젝트 이름을 github 레포지토리 명이랑 동일하게 변경
- 이 방법은 아에 커밋 내역이 없을 때 사용. (커밋 내역을 옮기고 싶으면 구글에 ".git 옮기기" 라고 검색하면 커밋 내역을 옮기는 많은 내용이 나온다.)
github에서 spring-security 레포지토리를 만들고 로컬 프로젝트를 생성하기 위해 기존 레포명을 spring-security-tmp로 만들고 로컬 프로젝트를 동일한 이름 spring-security로 만들어주자.
아래 캡쳐본 처럼 mv [파일명] [이동시킬 폴더 경로] 해주면 완료된다.
git gui를 확인해보면 github과 연동되어있는 프로젝트가 로컬에서 생성한 프로젝트로 변경됨을 확인할 수 있다.
끝
'이것저것 하찮은 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intellij] 알아두면 좋을 kotlin Import 관련 설정 (0) | 2022.05.05 |
---|---|
[gitKraken] 한 컴퓨터에서 깃헙 계정 여러개 사용하기 (0) | 2022.01.21 |
Comments